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도 퇴사자 연말정산 이렇게 하면 끝! 한 번에 정리

by 머니 마스터 2023. 11. 21.

다니던 회사 퇴사하고 나면 연말정산 어떻게 해야 하나 궁금하실 텐데요. 아래 상세하게 설명드릴 테니 확인하고 한 번에 연말정산 끝내시길 바랍니다.

 

중도퇴사자-연말정산

 

 

중도퇴사자 연말정산

 

해당 연도가 끝나기 전에 퇴사한 경우 연말정산 하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 회사를 옮겼다면 현 직장에서 하는 경우가 있고, 현 직장에서 할 수 없는 경우라면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직접해야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중도 퇴사자라면 2가지 방법을 알고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

 

 

1. 회사를 옮긴 경우라면?

2023년 7월 31일까지 근무하고 2023년 8월 1일부터는 새로운 회사에서 근무한 경우라면 이전 직장의 연말정산은 내가 챙겨야 하는지 자동으로 처리되는지 헷갈립니다. 저도 처음에 이직했을 당시 세무서까지 직접 찾아다니며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엄청 헤맸던 기억이 있습니다. 보통은 인사팀에 문의하면 방법을 알려주는데요. 그때는 인사팀으로 문의하려는 생각도 못했어요..;;

 

새로운 직장에 다니는 경우라면 현 직장에서 연말정산을 진행하면 됩니다. 문제는 이전 회사의 근로소득은 어떻게 처리하는지 인데요. 회사마다 처리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상세한 방법은 인사팀으로 문의하는 게 좋겠죠.

 

중도퇴사자-연말정산

 

 

다만 일반적인 방법을 알려드리자면, 이전 근무지의 근소 소득 원천징수영수증 및 증명서를 현 직장에 제출하여 연말정산을 진행하면 됩니다.

 

이전 근무지에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발급요청을 하면 발급해 줍니다. 이 서류를 연말정산 서류제출 기간에 함께 현재 다니는 직장에 제출하면 됩니다.

 

이전 회사로 연락할 수 없는 경우라면, 우선 현 직장에 다닌 기간만큼 연말정산을 진행하면 되고요.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홈택스를 통해 이전에 다녔던 회사의 근로소득분과 합산하여 신고하시면 됩니다. 이때 홈택스에서 근로소득지급명세서를 조회하면 이전 직장에서 신고한 금액을 확인할 수 있어요.

 

 

중도퇴사자-연말정산

 

귀찮아서 아무것도 안 하게 되면 세금을 더 많이 내게 될 수도 있어요. 잘 챙겨서 신고하시길 바랍니다.

 

 

 

2. 회사를 다니고 있지 않다면?

회사를 아직 다니고 있지 않는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회사를 아직 다니지 않고 있다면 퇴사할 때 마지막 급여받으면서 연말정산을 진행하게 됩니다. 퇴사하기 전에 연말정산 서류를 제출해 두면 처리가 되고 따로 할 것은 없습니다. 다만, 부업으로 발생되는 소득이 있어서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된다면 다음 해 5월에 합산 신고하시면 됩니다. 

 

기억을 되돌려보니 저 같은 경우 퇴사할 때 회사에서 연말정산 기본 공제만 할 건지 물어봤던 것 같아요. 그때는 뭔지도 잘 모르고 '네'라고 대답했었거든요. 기본 공제만 하면 따로 서류도 안 받더라고요. 기본 공제 대상이라면 모르겠으나 그게 아니라면 이런 부분도 잘 챙겨서 신고해야 합니다. 

 

중도퇴사자-연말정산

 

 

3. 중도퇴사자 연말정산 시 유의사항

  •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주택자금, 주택마련저축, 신용카드 등의 사용금액은 근로기간 동안(퇴사 전) 지출한 비용에 대해서만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이나 공무원연금 보험료, 기부금, 연금저축 등은 연간 지출액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퇴직한 회사에서 연말정산을 하는 경우, 퇴직 시점에 환급받거나 납부하게 됩니다.
  •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는 경우 5월에 환급받거나 납부하게 됩니다.

 

연말정산 가볍게 본다면 한 푼이라도 귀한 돈을 더 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요. 세금을 절약하는 게 돈 버는 길인 것 같아요. 세금을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을 숙지하고 계획 있게 관리하면 세금폭탄을 피하실 수 있을 겁니다.